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전자처방전,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상태바
"전자처방전,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 의약뉴스
  • 승인 2004.12.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국가, 전자처방전 실효성 논란
대한약사회와 KT의 협약으로 서비스 되고 있는 ‘전자처방전’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개국가에 따르면 홍보 부족과 실효성 문제를 두고 개국 약사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 8월부터 현재까지 KT EDI에 가입한 약국은 1000여 곳.

개국약사들이 가장 답답해하는 문제 중 하나는 '종이처방전의 보관의무가 과연 전자처방전으로 대체 가능하게 될것인가'의 문제이다.

사업초기에 대약은 회원들에게 KT EDI 서비스의 장점 중 하나로 ‘전자처방전 대체 가능’을 내세웠지만 아직도 법적으로는 종이처방전 보관이 의무라는 것.

개국가의 한 약사는 "언제 개정되는 건지, 개정의 여지는 있는 건지 궁금하다”며 "차라리 개정이 이루어 진 후에 일괄적으로 바꾼다면 모를까 현재는 할 사람만 하고 안 할사람은 안하고, 가입자도 많지 않아 한달에 전송받는 처방전은 몇 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약사회의 정명찬 차장은 "아직은 초기 상태라 종이처방전과 병행하는 상태"라며 "'전자처방전 대체’개정에 관한 문제는 현재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개국약사들이 지적하는 또다른 문제는 '비지정방식'이 과연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

대약이 당초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비지정방식’이 환자와 약사의 시간을 절약해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강북의 K약사는 "환자가 종이처방전을 들고 와서 주는 것과 주민등록번호 입력해서 인증까지 받아 전자처방전을 받는 것이 특별한 시간절약의 의미가 있는 건가”라고 반문하며 "약사를 위한 사업이라고 추진했는데 약사들이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다시 검토하는게 이익단체의 할 일"이 아니냐며 약사회에 일침을 가했다.

이 약사는 이어 "게다가 대체조제도 제대로 못하게 하는데 약이 없는 경우 열심히 인증 받아 내려받은 전자처방전을 어떻게 하느냐"며 또다른 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관련 KT EDI 전자처방전 담당자는 "약국에서 전자처방전을 전송받은 후 해당약품이 없어 조제를 못할 경우 KT 서버로 처방전이 다시 돌아온다"며 "KT서버에서 전자처방전의 유효기간은 3일"이라고 설명했다.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천문호 회장은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제대로 추진한다면 괜찮은 정책이다" 며 "그러나 홍보가 부족하고 대체조제에 대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추진하다 보니 약사들의 불신이 커져버렸다"고 말했다.

천회장은 또 "제대로 된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추진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편 복지부 관계자는 "전자처방전 대체 개정은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없다"며 "가능한한 환자의 편의를 위해 처방전 개선문제에 대해서는 검토를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복지부에서는 전자처방전 대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약뉴스 박미애 기자(muvic@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