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인공 자궁태반, 동물 모델에 국내 최초 수립
상태바
인공 자궁태반, 동물 모델에 국내 최초 수립
  • 의약뉴스
  • 승인 2004.09.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KOSEF)이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연구사업으로 지원한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송창훈 교수(연구책임자)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국현(공동연구자) 교수팀은 인공 자궁태반 치료기술을 위한 동물모델을 국내 최초 공동 수립함으로서, 조산아 치료와 태아수술 등 미래 첨단 의료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했다.

인공 자궁태반이란 태아가 생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궁과 태반을 인공적으로 만들어서, 태아를 엄마의 자궁속이 아닌 자궁 밖에서 키울 수 있는 인공장기의 일종이다.

영화 속의 이야기와 같은 인공 자궁태반은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로서, 조산아(혹은 미숙아) 치료의 미래기술이라 할 수 있는데, 임상의학·의공학·재료공학 등 학제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는 분야이다.

인공 자궁태반은 폐 기능이 미성숙한 조산아나 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신생아에서, 폐호흡에 의존하지 않고 제대 즉 탯줄을 이용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서 조산아의 생존과 치료를 돕는다.

인공 자궁태반은 아직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어서, 임신한 염소를 이용한 동물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세계적인 연구동향으로는 유일하게 일본에서 인공 자궁태반 동물모델이 수립된 이후 이번 국내에서 보고된 사례가 두 번째이다.

현재 수립한 연구성과로는 인공 자궁태반 기술에 의하여 태아를 약 48시간 생존시키는 단계이다. 그러나, 앞으로 생존시간이 연장되고 합병증에 대한 연구가 뒤따른다면 임상 활용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송창훈·이국현 교수팀은 2004년 4월 일본산부인과학회 국제학술회의에서 이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의약뉴스 손용균 기자(asanman@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