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기에 주기적인 악몽을 꾸는 경우 정신장애의 징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면 저널(journal Sleep)에 실린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악몽을 꾸지만 지속적인 악몽은 심각한 질환의 조짐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잠자리에 들고 나서 울부짖거나 몸부림치는 야경증을 오래 겪어도 정신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 워릭대학교의 연구팀은 소아 680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수면문제 여부를 정기적으로 묻고 연구가 끝날 무렵 아이들을 상대로 환각, 망상 혹은 사고를 조정 당한다는 생각 등의 정신질환 경험 여부를 조사했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아이들은 일정 시점에 악몽을 꾼 경험이 있지만 37%의 경우에는 아이의 부모가 자녀의 악몽이 수년 동안 연속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개 3세에서 7세 사이에 10명 중 한 꼴로 야경증을 겪었다고 집계됐다.
연구진은 악몽과 야경증과 관련해 장기적인 문제가 있으면 후에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전체적으로 소아 1000명 당 47명꼴로 특정한 정신질환을 겪은 적이 있다고 나왔지만 12세까지 악몽이 계속될 경우 정신질환을 겪을 가능성은 3.5배 더 높았으며 주기적인 야경증을 겪는 경우에는 두 배 가까이 위험이 높아졌다.
연구를 진행한 디터 볼케 교수는 악몽과 야경증은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지만 만약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심각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수면장애와 정신병과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어린 시절 괴롭힘을 당하거나 외상적 사건 경험이 있으면 수면장애 혹은 정신적인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일부 아이들의 뇌에서 현실과 비현실, 수면과 각성 상태를 구분하는 경계가 모호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는 수면문제의 치료가 정신병적 경험을 예방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악몽은 장래 더 심각한 문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징후로 나타날 수 있다.
볼케 교수는 규칙적인 일상과 수면의 질이 악몽을 몰아낼 수 있다고 말하며 수면위생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은 더 규칙적으로 잠자리에 들어야 하며 밤에 컴퓨터를 하거나 잠들기 전에 불안감이 생길 수 있는 영화는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야경증의 경우 잠자는 도중 특정한 때에 발생하는데 아이를 간단히 걷게 하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영국 시민단체 영마인즈(YoungMinds)는 이번 연구를 두고 아이의 정신질환 조기 징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연구결과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