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국내 자체적 DUR 프로그램 개발 시급하다"
상태바
"국내 자체적 DUR 프로그램 개발 시급하다"
  • 의약뉴스
  • 승인 2004.05.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부가 진행하고 있는 약물사용평가(이하DUR)에 대한 의협 등 의료단체와의 이견대립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자체적인 고유의 DUR 프로그램 제작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류마티스내과 배상철 박사는 20일 열린 제24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DUR 프로그램 자체가 비용절감과 효과적인 증거에 대한 이론적 바탕이 미비한 것을 지적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현재 '의약품사용평가위원회'는 3차에 걸친 회의를 통해 DUR의 방법과 기준설정 및 적용 ▲적용결과에 대한 평가와 정보제공 ▲약물상호작용 ▲용량ㆍ치료기간ㆍ중복약물 및 투여금기 등에 해당하는 처방과 투여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 등 구체적인 로드맵을 작성중에 있다.

이와 관련 의협을 주축으로 한 의료단체가 "의사들의 고유권한인 약물처방에 대한 정부의 간섭이 진료비나 약제비 삭감 등을 통해 강화될 것을 지적"하고 약물사용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적극대처하는 등 복지부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

배상철 박사는 이러한 일련의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을 의협 등 의료단체를 제외한 대부분이 DUR에 대한 인지도가 현저히 낮다"고 지적하며, "의사들이 먼저 DUR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가 주도하는 DUR의 비용 효과의 불확실성은 DUR프로그램의 방법이나 내용의 부실로 인한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제도를 성급하게 도입하는 것보다 간단한 문제부터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약물처방 내용만을 이용한 약물사용을 평가하는 방법은 오히려 잘못된 경고의 가능성을 높여 처방하는 의사에게 불필요한 시간소비와 엉뚱한 다른 약제를 사용케 하는 재원의 손실을 가져온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그는 "DUR이 보편화된 미국 등 선진국 등을 모델로 우리나라 자체 약물사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확립하여 고유의 효율적 프로그램개발이 필요성"과 "제한된 재원하에서 가장 비용 효과적으로 약물을 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 발전시킬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