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벌죄 시행 이후 리베이트에 대한 의사들의 반응이 뜨겁다.
뜨거운 것의 핵심에는 처벌에 대한 반발심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대개는 우리는 큰 잘못이 없고 제약사에 책임이 있다는데 모아진다. 주는 제약사도 물론 책임이 있다. 하지만 받는 의사들이 책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은근히 바라는 경우도 있고 안주면 불이익을 받을 것을 염려한다는 소리가 들린다면 그런 분위기를 만든 것은 의사들이기 때문이다.어찌 댔든 대가성 여부는 법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만 주고도 뺨맞는 제약사는 말이 없다.
을인 제약사가 갑인 의사에게 잘못의 일부분이 의사에게도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배짱은 없기 때문이다.
사업을 접을 생각이 아니라면 의사들의 주장에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는 것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제약사의 본능’이 감지하고 있다.
오랜 관행이며 습관이다 보니 정상적인 거래처럼 여겨져 왔던 리베이트 여파가 제약사를 위기로 몰아넣으면서 유구무언인 제약사를 안타까운 눈으로 쳐다보는 시선이 늘고 있다.
해당 제약사로 인해 처벌을 받게 되는 의사들을 중심으로 그 회사 약은 처방하지 말자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으며 실제로 의료현장에서 이러한 주장이 실천으로 옮겨지고 있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의사 - 제약사가 적당한 긴장을 유지하고 협력해서 의약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것을 환영한다. 그래야 좋은 신약이 나와 환자 치료와 국민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은 우월한 힘을 가진 한쪽의 일방적인 원한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제약사의 위기는 바로 의약계의 위기로 이어진다.
우수한 제약사가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공격으로 치명상을 입거나 문제가 생겨 도중하차 하는 현실은 공격자의 입장에서도 결코 유쾌한 일 만은 아니다.
좋은 약을 개발해 판촉을 하고 처방을 하는 관계는 실타래처럼 서로 뭉쳐 있어야 한다.
우리는 갑과 을의 관계가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데 의견을 모으면서 서로가 대화로 문제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상생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